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남원역 열차 추돌사고

덤프버전 :



주의. 사건·사고 관련 내용을 설명합니다.

이 문서는 실제로 일어난 사건·사고의 자세한 내용과 설명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남원역 열차 충돌사고 혹은 남원역 열차 역추돌사고라고도 한다.
1. 개요
2. 발생 과정
3. 사고 원인
4. 기타
5. 둘러보기


1. 개요[편집]


1971년 10월 13일, 1970년에 수많은 학생들이 산화했던 모산 수학여행 참사원주터널 열차 충돌사고의 1주기를 불과 며칠을 남겨 둔 이날 또 한 번 대한민국 국민들을 분노케 하는 사고가 벌어졌다.[1] 전라북도 남원역 구내에서 군산역[2]으로 수학여행을 가는 232명 및 통학생과 시민들을 태운 순천용산행 192호 보통열차가 남원역 출발 후 1.5km 지점에서 기관차 출력부족으로 언덕에서 멈춘 뒤 후진하여 후발열차로 대기 중인 유조화물열차를 (역)추돌하여 9호, 8호, 7호 객차가 탈선되고 특히 7호 객차가 8호 객차를 반쯤 짓이겨 8호 객차에 탑승한 어린이들이 참변을 당했다. 이 사고로 인해 국민학생(초등생)15명, 고교생 3명이 사망하고 36명이 중경상을 입었다.[3]

당시 신문기사


2. 발생 과정[편집]


192호 보통열차가 남원역에서 6시 40분에 출발 후 7시 16분 후발 유조화물열차가 진입해 정거 중이었다. 이때 선행 192호 보통열차에서 무전으로 기관차의 기관고장으로 구조해 달라는 연락을 받게 되었다. 이후 직원들이 유조화물열차의 기관차를 유조탱크와 분리하려는 찰나 보통열차의 기관차의 제동장치가 풀려 뒤로 미끄러지기 시작해 남원역으로 돌진 유조화물열차와 뒤로 추돌하는 사고가 발생했다. 이때 열차 충돌 시 발생하는 타오름현상으로 7호차가 8호차를 타고올라 객실의 1/3 이상을 뭉개 버려 인명피해가 커져 버렸다. 위의 신문 7면에 당시의 사진이 실려 있다.


3. 사고 원인[편집]


당연하게도 기관차가 기관고장으로(혹은 추력부족으로) 오르막길을 오르지 못하고 제동을 건 상태로 버티다가 제동이 풀려(압축된 공기가 모두 풀려서 제동장치가 풀림) 그대로 중력에 의해 뒤로 밀려 나아갔고 후속 열차에 그대로 추돌한 것이다. 지금은 기관차들의 성능이 좋아 이같은 현상은 거의 사라졌지만 당시에는 열차라면 선로가 언덕을 올라갈 시 언제든지 발생할 수 있는 기초적인 사고 유형 중 하나였다. 이런 사고의 경우 다른 기관차를 동원해 구원하는 것이 정석이지만 이번 사고는 구원하기도 전에 이미 열차가 떠난 셈이다.[4]

따라서 이런 사고를 대비하여 열차 바퀴에 침목을 대어 제동의 힘을 보강하고(자동차와 같다) 역에서는 열차가 뒤로 미끄러져 내려올 것을 대비해 선로를 비워 두거나 선로전환기를 작동시켜서 추돌을 방지하고 열차를 세울 방법을 꾀하여야 한다. 이것은 기초적인 사고유형에 대한 기초적인 대비책이었지만 이 사고에서 지켜진 것은 아무것도 없다. 한 언론사는 다음과 같은 제목의 기사를 내보냈다. 남원참사는 막을 수 있었다 돌 하나만 있었어도...

당시 사고 기관차는 6000호대 디젤기관차로, 1963년에 도입한 나름 신형이였고 9량쯤은 너끈히 끌 출력을 가지고 있었으며 사고 당시에는 오일 펌프 고장으로 멈춘거라 한다. 그러나 제동하여 대기 중 에어 브레이크에 압축공기 조작을 했어야 하는 기관사의 능력 부족으로 제동을 유지하지 못하고 열차가 밀린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 때문에 경력이 모자란 신참 기관사들에 대한 문제가 제기되었다.


4. 기타[편집]


  • 이 사고 당시의 언론(신문)들이 기사들을 보면 1969년부터 연이은 대형사고에 철도 전체의 문제 제기가 잇따랐음을 알 수 있다. 그것도 그럴 것이 경부고속도로의 개통으로 인해 철도의 쇠퇴가 급속도로 빨라졌기 때문이다. 그로 인해 철도 종사자들의 사기가 꺾이고 근로의욕이 떨어져 사고를 미연에 막지 못하고 대처능력의 저하를 가져온다고 진단한 기사도 있다.



5. 둘러보기[편집]



역대 대한민국의 대형 사고 및 참사
[ 2020년대 ]

발생일사망사건명
2022년 10월 29일
159이태원 압사 사고
2020년 4월 29일
38

[ 2010년대 ]

발생일사망사건명
2019년 5월 29일
27헝가리 유람선 침몰 사고
2018년 1월 26일
47밀양 세종병원 화재 사고
2017년 12월 21일
29제천 스포츠센터 화재 사고
2014년 12월 1일
27501오룡호 침몰사고
2014년 5월 28일
21장성 효사랑요양병원 화재 사고
2014년 4월 16일
299청해진해운 세월호 침몰 사고
2010년 3월 26일
46천안함 피격 사건

[ 2000년대 ]

발생일사망사건명
2008년 1월 7일
40이천 냉동창고 화재 사고
2003년 2월 18일
192대구 지하철 참사
2002년 4월 15일
130중국국제항공 129편 추락 사고
2001년 9월 25일
25제7호 태창호 사건
2001년 7월 24일
20진주 관광버스 추락사고
2000년 10월 27일
22장수 88올림픽고속도로 추돌 참사


[ 1990년대 ]
[ 1980년대 ]

발생일사망사건명
1989년 9월 17일
24전북 모래재 버스 추락 사고
1989년 7월 27일
79대한항공 803편 추락 사고
1987년 11월 29일
115대한항공 858편 폭파 사건
1987년 8월 29일
32오대양 집단자살 사건
1987년 6월 16일
29극동호 유람선 화재 사건
1986년 7월 30일
21고창 거룻배 전복 사고
1985년 1월 11일
38양강교 버스 추락사고
1984년 1월 14일
38부산 대아호텔 화재 사건
1983년 10월 9일
25아웅 산 묘소 폭탄 테러 사건
1983년 9월 1일
269대한항공 007편 격추 사건
1983년 4월 18일
25대구 초원의집 화재
1982년 6월 1일53청계산 C-123 추락사고
1982년 4월 26일
62우순경 사건
1982년 2월 5일53제주 C-123 추락사고
1981년 11월 22일
33부산 금정산 버스 추락사고
1981년 5월 14일
55경산 열차 추돌사고

[ 1970년대 ]

발생일사망사건명
1979년 10월 27일
26은성탄광 화재
1979년 4월 14일
44함백 탄광 폭발사고
1978년 7월 23일
33한강대교 버스 추락 사고
1977년 11월 11일
59이리역 폭발사고
1976년 10월 28일
34동해 어선 조난 사고
1976년 5월 18일
23답곡리 버스 추락사고
1976년 2월 28일
32화천 버스 추락사고
1974년 11월 3일
88대왕코너 화재사고
1974년 2월 22일
159YTL30호 침몰 사건
1973년 8월 12일
32영동역 유조열차 폭발 사고
1973년 5월 16일
22영일 건널목 열차 추돌사고
1972년 12월 2일
53서울시민회관 화재 사고
1972년 8월 1일
26의암호 버스 추락 사고
1971년 12월 25일
166대연각호텔 화재
1971년 10월 13일
20남원역 열차 추돌사고
1971년 5월 10일
80청평호 버스 추락 사고
1971년 5월 10일
31질자호 침몰 사고
1970년 12월 15일
326남영호 침몰사고
1970년 11월 5일
31의암호 선박 전복 사고
1970년 10월 14일
46모산 수학여행 참사
1970년 8월 21일
25추풍령 고속버스 추락 참사
1970년 4월 8일
33와우 시민아파트 붕괴사고


[ 1960년대 ]

발생일사망사건명
1969년 9월 17일
76창녕 남지읍 나룻배 전복사고
1969년 9월 17일
37창녕 기관선 - 남지교 충돌 사고
1969년 1월 31일
41천안 열차 추돌사고
1968년 1월 8일
41함양 버스 추락사고
1967년 10월 16일
42금릉 버스 추락 사고
1967년 9월 15일
29삼양수산 원양어선 침몰 사고
1967년 4월 8일
80서울 청구동 C-46 추락사고
1967년 1월 14일
93한일호-충남함 충돌 사고
1967년 1월 1일
41서문시장 화재
1964년 7월 29일
95+서해 어선단 실종 사고
1963년 10월 23일
49여주 조포 나룻배 침몰 사고
1963년 6월 25일
70거제 장승포 산사태
1963년 1월 18일
140연호 침몰 사건
1962년 9월 7일
36한남동 나룻배 침몰 사고
1960년 3월 2일
62부산 국제고무공장 화재
1960년 1월 26일
31서울역 압사 사고

[ 1950년대 ]

발생일사망사건명
1959년 7월 17일
67부산 공설운동장 압사 사고
1956년 1월 12일
66태신호 화재
1955년 3월 2일
42부산역 열차 화재
1953년 11월 27일
29부산역전 대화재
1953년 1월 31일
56오산 건널목 추돌 사고
1953년 1월 25일
66행운환 침몰사고
1953년 1월 9일
330창경호 침몰 사고
1951년 7월 11일
94제5편리호 침몰 사고
1951년 7월 11일
30+제13호 침몰 사고

[ 1940년대 ]

발생일사망사건명
1949년 10월 5일
71평해호 침몰 사고
1949년 8월 18일
51대강 터널 질식 사고
1947년 8월 19일
23태양환호 침몰 사고
1946년 11월 13일
42영등포역 열차 충돌 사고
1945년 8월 24일
549​~� 이상
우키시마호 사건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18 22:19:24에 나무위키 남원역 열차 추돌사고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모산 수학여행 참사:1일, 원주터널 열차 충돌사고:4일[2]군산화물역[3] 이후 후송된 중상자가 사망해 20명 사망으로 늘어았다.[4] 당시에는 기술이 없어 터널을 못 뚫고 언덕을 넘어가야 했다. 지금은 직선화로 해소된 상태이다.